안녕하세요 WON월드입니다.
새우는 남녀노소 모두가 좋아하는 식재료 중에 하나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국내산 새우를 선호하지만 비싼 가격 때문에 새우 수입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한국에서 먹는 대부분의 외국산 새우들 원산지는 어디일까요? 관련 기사 함께 보시죠.
한국의 새우 수입량 가운데 베트남산이 전체의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7일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2월 우리나라의 새우 수입량은 1만 4300톤으로, 이 가운데 베트남산 새우가 전년동기대비 0.7% 증가한 7165톤으로 전체의 50.2%를 차지했습니다.
국가별 새우 수입 비중은 베트남산이 전년동기대비 2.1%p 늘어난 50.2%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중국산(11.8%), 에콰도르(8.7%), 인도(6.8%), 태국(5.7%), 말레이시아(5.3%), 캐나다(3.4%), 페루(3.3%), 러시아산(0.1%) 순이었습니다.
1~2월 베트남산 새우 수입액은 5317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8.1% 감소했습니다.
베트남수산물수출생산자협회(VASEP·바셉)에 따르면, 한국은 베트남산 새우의 5대 수출시장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바셉에 따르면 2023년 1~2월 베트남산 새우의 최대 수출시장(수출액)은 5800만 달러의 일본이었으며, 이어 미국 5700만 달러, 유럽연합(EU) 5100만 달러, 한국 4600만 달러, 중국(홍콩 포함) 3300만 달러 순이었습니다. (출처 : 인사이드비나)
베트남산 새우 수입이 늘고 있는지 알았지만, 수입 새우의 50% 넘게 베트남산 새우인지는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과거에는 중국산 새우만 생각했는데, 이제는 베트남산 새우가 그 자리를 대체하다니 기분이 오묘합니다.
최근에 해산물 자원 고갈로 세네갈 갈치, 모리타니 갈치, 기니 조기, 아일랜드 골뱅이 등 전세계의 수산물들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정말 세계가 좁아지고 글로벌 해지는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Won월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독하기, 공감(❤) 눌러주시면 더! 더!! 감사드립니다.
'베트남 경제전망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 이스라엘, FTA 협상 타결! (9) | 2023.04.03 |
---|---|
베트남 3대 상업 은행 외국인 지분 한도 인상 (8) | 2023.03.30 |
베트남, 소비 위축 심각 ... (17) | 2023.03.27 |
베트남에서 임금 소득이 가장 높은 지역은?? (11) | 2023.03.15 |
커피 수출 전 세계 2위 베트남, 2030년 8조 수출 목표 (13) | 2023.03.08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