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WON월드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경기 침체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베트남도 마찬가지인데요. 오늘은 베트남 실직자에 관한 기사를 가져왔습니다. 같이 보시죠.
베트남의 1분기 실직자 수가 1년 전보다 13% 넘게 증가했습니다. 제조업 주문량이 감소하면서 기업들이 해고 등 구조조정에 나선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9일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직자 수는 14만9000여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가량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남동부 공단 지역인 동나이성에서3만 2600여 명의 실직자가 발생해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 이 외엔 빈즈엉성(2만 1700명),박장성(7700명)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1분기 중 경영난으로 인해 일시 해고된 근로자는 29만40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중 83.8%는 외국계 신발·의류·목재가공 기업에 속해있던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베트남 통계청은 제조업 주문량 감소로 1분기 실직자가 늘어났다며, 실직자에 대한 직업 훈련과 경영난에 빠진 의류·신발·전기제품 업종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실제 제조업체들이 몰려있는 남부 메콩강 유역의 평균 실업률은 1.75%로, 전년 동기 대비 0.25%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출처 : 조선일보)
최근 베트남을 보면 호찌민 1군 중심가임에도 불구하고 문을 닫고, 임대인을 구하는 가게들이 많습니다. 코로나19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미국 금리 인상의 연타로 인해서 폐업을 하고, 새로운 주인을 찾지 못한 곳들이 많습니다. 이는 베트남 소비 시장 위축을 잘 보여주는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전 세계 소비시장이 위축되면서 의류·신발·전기제품을 조립, 생산하여 해외로 수출하는 베트남에도 큰 타격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에 신발 업계에 근무하던 제 지인도 공장의 경영 악화로 퇴사하고 한국으로 돌아간 사례가 있습니다.
앞으로 경기 방향을 예측하기는 힘들지만, 경기 위축 또는 침체가 오는 것은 거의 확실해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트남에는 어떠한 시련이 닥칠지 걱정이 커져갑니다.
지금까지 Won월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독하기, 공감(❤) 눌러주시면 더! 더!! 감사드립니다.
'베트남 경제전망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인 투자 급감. 베트남, 대책은 있는가? (15) | 2023.04.23 |
---|---|
베트남 정부는 노바랜드를 살리나? (8) | 2023.04.12 |
베트남의 시한폭탄, 부동산 기업 부실 채권 (12) | 2023.04.08 |
베트남, 부동산 소유권 증서(핑크북) 발행 범위 확대 (5) | 2023.04.07 |
베트남에 쏠렸던 한국인 투자, 올해 1분기에는 어디로 갔나? (10) | 2023.04.05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