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WON월드입니다.
오늘날 베트남과 한국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아주 밀접한 사이가 되었습니다.
경제적으로 밀접해지다보니, 국제결혼도 아주 많이 늘어났고 양국에 거주하는
베트남인과 한국인의 수도 엄청 늘어났습니다.
이러한 와중에 베트남에서 또 러브콜이 들어왔는데요.?!
베트남 총리가 한국에 첨단 기술 분야 투자 확대와 현지 기업과의 협력 강화를 제안했습니다.
31일 베트남뉴스통신(VNA)에 따르면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는 전날 하노이에서 주베트남 한국대사관 박노완 대사, 한국 기업 및 기관 관계자들과 만나 "디지털 기술, 전자, 재생 에너지, 인프라 개발 등 첨단 기술 및 혁신 분야에서 더 많은 협력과 투자를 바란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베트남의 최우선 과제는 4차산업혁명 핵심 기술 산업을 육성하는 것"이라며 "한국이 강한 분야인 과학기술·혁신, 디지털 전환 등과 관련된 생산 능력을 갖추기 위해 해당 부문 투자 유치를 희망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njtRl/btrIA1CU5S1/XzrxBG5jP589v9PAAgulGK/img.jpg)
그는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 현지 기업과 협력하고 베트남 기업이 공급망에 참여토록 지원함으로써 베트남이 지역과 글로벌 가치사슬(밸류체인)의 허브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무역과 관련해서는 한-베트남 자유무역협정(FTA) 아래 정책적 대화를 증진하고 베트남 농수산물의 한국 시장 진출을 위한 여건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날 만남에서 한국 측은 세제 혜택, 전력 계획, 재생 에너지 투자 인센티브를 비롯해 다양한 사업 및 노동 관련 절차, 일부 프로젝트 진행상의 어려움 등에 대한 33개 제안을 제시했습니다.
한국은 베트남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는 나라입니다. 현재 9천383건의 프로젝트에 798억달러(104조3천억원) 규모를 투자 중이라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베트남은 중국과 미국에 이은 한국의 3대 수출국이기도 합니다. 한국과 베트남의 교역량은 한국과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교역량의 약 50%를 차지합니다.
찐 총리는 "한국은 대부분 분야에서 베트남의 중요한 파트너"라며 "베트남에 대한 투자는 6억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아세안 시장에 진입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과 베트남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 참여했으며 내년 교역 규모 1천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출처 : 매일경제)
현재 베트남은 운명의 갈림길에 놓여있습니다.
이대로 기존에 하던 경공업 위주, 노동집약적 산업 위주의 경제 체제를 유지할 경우, 전체적인 경제의 파이는 커지지만,
중진국의 함정에 빠져 암울한 미래가 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첨단산업 육성에 목을 매고 있지만, 자본과 기술의 제약으로 혼자만의 힘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대한민국에 끊임없는 러브콜을 보내고 있는 것입니다.
한국 입장에서도 중국에서의 실패를 되풀이하지만 않는다면, 베트남은 굉장히 좋은 파트너입니다.
인구 1억명의 소비시장, 인구 황금기를 맞은 풍부한 인적자원, 타 동남아 국가에 비해 월등한 근면성 등은 함께 협력할 경우 굉장한 시너지 효과가 나오리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양국의 협력과 공동발전을 기원합니다.
지금까지 Won월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독하기, 공감(❤) 눌러주시면 더! 더!! 감사드립니다.
'핫이슈 in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외국인 관광객 급증 (3) | 2022.08.02 |
---|---|
금 사재기 열풍인 베트남...왜?? (2) | 2022.08.01 |
베트남 GDP 3분기 성장 전망은 어떨까? (4) | 2022.07.28 |
올여름 한국인이 해외여행으로 가장 많이 가는 나라는? (6) | 2022.07.27 |
베트남, 근로자 초과근무시간 한시적 연장 (26) | 2022.03.24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