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WON월드입니다.
베트남에서 가장 잘 사는 지역은 어디일까요?
베트남의 수도인 하노이일까요??
가장 인구가 많고 경제의 중심지인 호찌민일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한 소식을 가져와 봤습니다.
'약속의 땅.'
관영매체 베트남넷(Vietnam Net)이 평가한 베트남 남부의 빈즈엉(Binh Duong) 성에 대한 평가입니다. 빈즈엉 성이 빠른 발전을 거듭하며 베트남 최고의 지방성으로 우뚝 서고 있습니다. 빈즈엉 성은 하노이와 호찌민에 비해 한국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베트남 63개 성·시 중에서 대표적인 경제성장의 모범사례 중 하나로 꼽힙니다.
최근 베트남 정부 발표에 따르면 빈즈엉 성은 올해 상반기 월평균 소득이 712만동(약 39만8900원)으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전국 평균의 2.5배 수준입니다. 빈즈엉성은 지난 2020년 처음으로 전국 소득 수준 1위에 올라선 이후 3년째 이 자리를 지켜오고 있습니다. 상반기 월평균 소득의 2위와 3위는 호찌민(700만 동), 하노이(600만 동)였습니다.
특히 빈즈엉 시는 중앙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해외투자(FDI) 부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베트남 외국인 투자청(FIA)의 통계에 따르면 2022년 1분기에 빈즈엉 성은 총 투자 자본이 23억 2000만 달러(약 3조 355억 원)로 베트남 전체 외국투자 자본에서 4분의 1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상반기까지도 빈즈엉은 39억 5800만 달러의 FDI를 유치해 호찌민시에 이어 2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또한 행정개혁, 도시화 비율, 지역경쟁력 지수(PCI) 등에서도 빈즈엉 성은 모두 상위권을 차지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베트남넷에 따르면 빈즈엉성은 행정개혁 분야 2위, 도시화 비율 4위, PCI 6위, 교육 수준 5위를 차지했습니다. 하노이, 호찌민, 하이퐁 등 다른 대도시에 비해 인구, 인프라, 인지도가 모두 열세지만 사실상 전 분야에서 당당히 상위권을 차지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빈즈엉 성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주요 이유로는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통합 인프라 구축, 현지 인민위원회의 친기업적인 기조가 꼽힙니다. 노재환 서우 리얼티 베트남 대표는 “빈즈엉 성의 경우 정부의 행정 처리속도가 다른 지방에 비해 상당히 빠른 편”이라며 “현지 외국기업들의 평판이 좋다. 지방정부 또한 기업과 우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현재 빈즈엉 성에는 주요 공단인 미푹 공단, 싱가포르 공단, 베카맥스 공단 등 38개 공단이 있습니다. 베트남 전체 350개 공단 중 10% 이상이 몰려있는 셈입니다. 이 지역에는 금호타이어, 코오롱, 오리온 등 주요 한국기업 포함해 약 600여 개의 외국투자기업들이 밀집해 있습니다.
또한 인구는 250만 명에 불과하지만 대부분이 젊은 노동력 인구라는 강점이 있습니다. 여기에 빈즈엉 대, 이스턴 인터내셔널대(EIU) 등 6개 종합대학에서는 매년 신규인력이 배출되고 이주자들을 통해서도 매년 9만 명 이상의 인구가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베트남넷은 빈즈엉 성은 호찌민과 인접한 위치적 장점과 교통 인프라, 시기적절한 정부 지원 측면에서 이점을 수렴하면서 남부 지역의 투자 유치에 있어 ‘황금 좌표’가 되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이어 이 지역은 베트남 어느 지역보다도 빠른 발전을 이뤄나가고 있다며 다른 지방정부도 빈즈엉의 모범 사례를 참고해 발전 수립계획을 구상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빈즈엉 성은 사실 수십년 전만 해도 남부의 평범한 농경성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베트남넷에 따르면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빈즈엉성이 국가의 주요 산업 지역 중 하나로 부상할 것으로 생각한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관계자들의 당시 회상으로는 빈즈엉성은 영토는 넓었지만 여러 세대에 걸쳐 경제는 농업이 주류를 이뤘고 산업과 서비스의 존재는 아직 미미했습니다.
하지만 도 이머 이(개혁개방) 이후 빈즈엉 성 지방정부는 지역의 산업화와 현대화의 길을 열어주는 개방적인 정책으로 과감한 혁신주의를 추진했습니다. 정부는 기반 시설을 구축했고 투자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생산과 기업 투자에 유리한 조건을 조성했습니다. 이후 국내외 투자 자본이 빈즈엉 성으로 대량 유입되어 곳곳에 공장이 생겨나고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 경제 구조는 기존 농업에서 산업·서비스 방향으로 크게 바뀌었고 도시화의 얼굴이 명확하게 형성됐으며, 비효율적인 농지가 국가의 핵심 공업지대와 산업 클러스터로 탈바꿈했습니다.
빈즈엉 성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성 지역 내 총생산(GRDP) 성장률은 2000년대 초반과 비교해 108배 증가한 130 조동에 달합니다. 같은 기간 평균 연간 GRDP 증가율은 11%를 나타냈습니다. 경제구조도 크게 바뀌어 2020년 기준 공업분야는 지역 경제의 66.59%를 차지하고 농업 비중은 3.17%까지 떨어졌습니다. 발전의 핵심 원동력이 된 외국인 투자는 지금까지 총 등록 자본금은 396억 달러에 달하며, 총 4053개의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가 추진됐습니다.
빈즈엉 성은 계속해서 지역발전을 위한 계획 추진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입니다. 보반민 빈즈엉성 인민위원회 위원장은 지역 경제가 국가 평균보다 빠르게 성장했지만, 아직 경쟁력이 크게 높지 않고 성장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지역이 사회경제적 기반 시설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분권화를 촉진하고, 주도권을 창출하고 더 시간을 단축하며 지역적 책임을 강화하는 메커니즘과 정책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최근 빈즈엉성 정부는 3번 고속도로, 4번 고속도로, 호찌민시~뚜쩌우못 고속도로 등과 같은 지방의 핵심 교통 프로젝트 착공에 중앙정부에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특히 빈즈엉 성은 지역의 경제적 발전을 따라가는 사회 인프라 부문이 점점 과부하가 걸리고 있다고 판단하고 교통기반시설에 집중한다는 방침 압니다.
응우옌반로 빈즈엉 성 당서기는 “빈즈엉 성은 20년이 넘는 개발기간 동안 기적적인 성장을 달성해 왔다며 계속해서 정부가 빈즈엉 성이 전국 최고의 도시 중 하나가 되도록 사회경제적 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성을 지원해달라”라고 말했습니다.
관련해 베트남 기획투자부(MPI)는 빈즈엉 성의 차기 추진방향 수립을 오는 9월까지 완료하고 중앙 정부에 제출한다는 계획입니다. MPI에 따르면 빈즈엉성의 사회경제적 지표는 지난해 결의안(53-NQ/TW)에 명시된 과제를 상반기에 모두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응우옌찌쭝 MPI 장관은 5일 관계부처와의 회의에서 “빈즈엉 성의 요구는 합당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빈즈엉 성을 포함한 남부 주요 경제 지역은 교통인프라뿐 아니라 환경, 교육, 의료, 주택, 사회 보장을 개선하기 위해 투자 자본을 늘려야 한다. 앞으로 빈즈엉 성은 개발을 위한 혁신과 고품질 인적 자원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자원에 집중해야 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출처 : 아주경제)
베트남 경제는 정부 주도 아래 외국인 자본 유치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저는 향후 10년간은 이러한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베트남이 인구 황금기에 접어들었기에 1억 명의 소비시장을 바탕으로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는 불투명합니다. 급속한 경제 성장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와 소득 불균형, 다양한 사회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지가 관건입니다. 또한 농림수산업에서 제조업으로의 전환에 성공한 베트남이 앞으로 서비스산업으로 어떻게 도약할지도 문제입니다. 이러한 베트남의 성장을 지켜보는 것이 베트남에 사는 재미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겠네요.
지금까지 Won월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독하기, 공감(❤) 눌러주시면 더! 더!! 감사드립니다.
'핫이슈 in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숫자로 알 수 있는 베트남의 교육열 (2) | 2022.08.13 |
---|---|
석탄 수입을 더 늘리는 베트남, 왜?! (2) | 2022.08.12 |
'용감한 한국인' 베트남서 추격전 끝에 날치기범 붙잡아 (1) | 2022.08.08 |
코로나 재유행, 경계 태세 상향 (2) | 2022.08.08 |
베트남으로 몰려드는 인도인들...왜?? (1) | 2022.08.04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