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안녕하세요 WON월드입니다. 

 

베트남 노동 생산성 증가율은 2010 ~ 2020년 아시아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노동 시간당 생산 가치는 여전 아시아 최저라고 합니다. 이와 관련한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베트남 공장의 모습

 

 

 

베트남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지난 10년간 아시아 최고치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노동시간당 생산가치는 6.4달러로 여전히 아시아 최하위권에 머물렀습니다.

아시아생산성기구(Asian Productivity Organization)가 최근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0~2020년 베트남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64%로 아시아 최고치를 보였지만 2020년 기준 노동시간당 생산가치는 6.4달러로 역내국인 필리핀(9.7달러), 인도네시아(12달러)에 크게 뒤쳐졌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총 요소생산성(TFP)은 지난 2014~2018년 2% 증가해 동아시아 경제 수준에 미달했고 2015~2019년 기간 총 요소생산성은 국가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에 1.5% p 기여에 그쳤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총 요소생산성은 노동생산성과 더불어 근로자 개인의 업무능력, 자본투자액, 숙련도 등을 종합해 계량화한 수치로 보다 포괄적인 생산성 평가척도로 활용됩니다.

이와 관련, 세계은행(WB)도 최근 보고서를 통해 “베트남의 1990~2021년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5.3%로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에서 가장 높았으나 이 같은 경제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동생산성 증가가 동반돼야 한다”라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세계은행은 “베트남의 경제성장은 주로 FDI(외국인직접투자)에 의해 이뤄졌으며 현지기업은 경제확장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했고, 지난 10년간 현지기업이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으나 규모와 효율성 측면에서 FDI 기업에 크게 뒤쳐졌으며 글로벌 밸류체인에도 통합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이 기간 신설된 베트남의 민간기업은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내수시장을 겨냥한 소매업, 외식업 등 단순업종 중소규모 기업이 대부분을 차지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FDI 기업의 1인당 부가가치는 현지기업의 5배 가까이 높았고, 자산수익률과 이익 측면에서도 훨씬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에대해 세계은행은 “베트남은 혁신 스타트업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생산성 향상에 나서야 한다”라고 정부에 조언했습니다. (출처 : 인사이드비나)

 

 

아시아 국가별 근로시간당 생산가치(단위, 달러)

 

 

 

베트남 노동 생산성 증가율이 지난 10년간 최고였던 이유는 그 만큼 베트남의 노동 생산성이 낮았다는 반증입니다. 능력에 따라 부를 나눠 가지는 것이 아닌, 결과의 평등을 강조했던 베트남 사회주의가 개인의 노동 생산성을 바닥으로 만들었다가 자본주의를 받아들이면서 가져온 변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베트남은 중요한 고비를 맞고 있습니다. 낮은 노동 생산성을 더욱 빠르게 끌어올리지 않으면, 꾸준히 성장하더라도 중진국 이상으로 성장하기 힘들 것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유일한 해법은 교육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1억명이 넘는 인구와 아직은 젊은 인구구조를 가지고 있는 베트남이 기초 과학과 이공계 인력을 집중적으로 양성한다면 중진국의 함정을 극복할 수 있을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Won월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독하기, 공감(❤) 눌러주시면 더! 더!! 감사드립니다.

 

 

 

728x9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